물류와 수출 및 수입의 시작점 항만! 미래형 기술로 스마트화된다구요?🤨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항만으로의 전환이 빠르게 일어나고 있는데, 이는 핵심 산업 기술인 IoT, 디지털 트윈, 자율주행 등 다양한 기술력의 변화로 더욱 진화한 형태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스마트항만의 개념은 어떻게 되는지? 스마트항만에서의 핵심 기술들과 통신에 대한 부분까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스마트항만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어떤 이슈가 있을까요?
스마트항만은 쉽게 말씀드리면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최적화된 4세대 항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항만에서는 물류 및 하역 과정에서의 완전자동화와 각 기기간의 연결을 통한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하고 예측하는 영역부터 물류 플랫폼을 구축하고 주변 인프라와 연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선 부산7항이 완전자동화 시설을 구축한 항만으로 이를 기점으로 한국은 세계에서 9번재로 완전자동화 부두의 보유국이 됐습니다. 정부에선 이를 기점으로 광양항, 인천항 등 자동화항만의 구축을 통해 스마트항만으로의 전환 목표를 밝혔으며, '톤세제'를 연장하여 2029년 12월 31일까지 연장하는 등 항만산업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습니다.
스마트항만은 각종 기술력을 바탕으로 하역부터 물류, 플랫폼 등 넓은 분야를 아우르는 개념입니다. 여기서 통신 기술은 스마트 항만의 전반적인 과정 즉, 하역 등의 영역에서의 항만 자동화와 데이터 전송 및 분석을 위한 지능화 부문, 유관 플랫폼의 구축 및 안전관리 개선 등 넓은 영역에서 활용됩니다.